R 밀도(density) 히스토그램 히스토그램의 y값이 왜 1이 넘을까
R 히스토그램에서 밀도(density) 히스토그램으로 설정을 하면 전체 넓이가 1이 되게끔 그래프를 그려줍니다. 따라서 각 계급 간격의 합이 1보다 작다면 높이가 1보다 커질 수 있는 것입니다. 계급 간격이 0~0.1, 0.1~0.2 두개뿐이라고 해봅시다. 이때 밑변이 0.2이므로, 전체 넓이가 2이 되려면 각 높이의 합이 5가 되야 합니다. 예를들어 아래와 같은 계급값과 도수가 있다고 합시다. 160~170 : 5 170~180 : 5 상대도수를 계산하면 아래와 같습니다. 160~170 : 0.5 170~180 : 0.5 R 히스토그램에서의 density는 아래와 같습니다. 160~170 : 0.05 170~180 : 0.05 height=c(161,162,163,164,165,171,172,173,1..
2020. 12. 9.
단축키
내 블로그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 |
Q
Q
|
새 글 쓰기 |
W
W
|
블로그 게시글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 |
E
E
|
댓글 영역으로 이동 |
C
C
|
모든 영역
이 페이지의 URL 복사 |
S
S
|
맨 위로 이동 |
T
T
|
티스토리 홈 이동 |
H
H
|
단축키 안내 |
Shift + /
⇧ + /
|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